얼마 전 마이크로소프트는 액티비전 블리자드(이하 블리자드)를 750억 달러에 인수했습니다.
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에 많은 자원을 투자하며 게임 사용자들을 모으고 있었습니다.
이번 블리자드 인수로 인해 엑스박스는 상당히 안정적인 게임 플랫폼이 되었습니다.
그런데 왜 갑자기 이렇게 큰 인수를 감행 한 것이었을까요?
1. 메타버스를 위한 포석
이번 마이크로소프트의 블리자드 인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추진중인 '메타버스'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.
그렇게 추정할 수 있는 이유는 단순히 이번에 인수한 블리자드가 가지고 있는 '게임 종류' 때문이 아닙니다.
만약 '엑스박스'라는 플랫폼 안에서 한개의 아이디로 여러 게임을 하는것과 동시에 동일한 '게임 내 통화'를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?
최근 유행하는 NFT의 모토는 '어떤 플랫폼에서도 가지는 고유의 가치'입니다.
그렇다면 이제 스타크래프트에서 구입한 아이템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장착 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.
그렇게 된다면 지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진행중인 가상세계의 아바타에도 그 아이템을 장착할 수 있겠네요.
그리고 그 아이템을 거래 할 때 수수료 역시 챙길 수 있게 될 것입니다.
게임과 실제가 연결되는, 마이크로소프트가 주장하는 '초연결'이 되는 것입니다.
2. 링크드인 인수
마이크로소프트는 꾸준히 IT회사들을 인수해 회사의 몸집을 키워 왔습니다.
특히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의 '링크드인' 인수는 업계를 깜짝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죠.
그 금액이 262억 달러에 달했기 때문입니다. (한화 31조)
당시 '과하다, 무리다'라는 여론이 대부분이었고, 인수를 발표한 다음날 주가는 많이 떨어졌습니다.
그러나 2022년 링크드인은 매출만 100억달러 (한화 11조)를 바라는 거대한 캐시카우가 되었습니다.
이 링크드인 역시 마이크로소프트가 구축하는 메타버스의 한 축이 될 것입니다.
링크드인에 등록된 4억명이 넘는 사용자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의 프로필을 가진 사람들 입니다.
높은 신뢰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링크드인은 '취업을 위한 자기 이력서 관리'플랫폼이기 때문입니다.
만약 링크드인에 올라온 이력이 가짜거나 허위 일 경우 심하면 회사에서 퇴사를 당할수도 있고 소송이 걸릴수도 있습니다.
이제 이 신뢰도가 높은 플랫폼인 '링크드인'에 엑스박스 플랫폼 위의 'NFT'결합되고 이것들을 현실세계에서 현금화 하거나 화상채팅을 할 때 사용한다면 그 시너지가 폭발할 것입니다.
'링크드인'의 '진지한 사용자 계층'이 소비자를 끌고 들어오는 형태가 되는 것이죠.
3. 메타버스는 어떻게 정의될까?
2020년 메타버스 붐이 갑자기 일 때만 하더라도 '게임과 메타버스의 경계선'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.
저 역시 이에 관해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죠.
2021.11.12 - [메타버스] - 메타버스 - 흩어진 기술을 하나로 묶을 이름
마이크로소프트는 '디지털 트윈'을 기반으로 했고, 메타(구 페이스북)은 ' VR'을 기반으로 가사현실에 몰두하겠다고 했습니다.
그러나 아직 메타(페이스북)은 이렇다 할 성과를 보여주지 못한 반면, 마이크로소프트의 행보는 매우 과감합니다.
어쩌면 마이크로소프트의 '디지털 트윈'이 메타버스를 정의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.
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.
이상 글쓰는 쑤세미였습니다.
감사합니다.
2021.09.06 - [메타버스] - 메타버스 플랫폼과 게임의 가장 큰 차이점은 '이것'
'메타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타버스 나비효과 - PC판매량이 늘어날것 (0) | 2022.02.17 |
---|---|
메타버스는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줄까 (0) | 2022.02.16 |
성장가능성 높은 메타버스 암호화폐 3종 (0) | 2021.11.25 |
현존하는 최고의 XR 장비, MS-홀로렌즈(Hololens2) (0) | 2021.11.22 |
게임 둠(Doom)의 개발자 존 카맥, 메타버스를 우려하다 (0) | 2021.11.16 |
↑↑↑ 한번 눌러주시는 하트는 큰 힘이 됩니다! ^^ ↑↑↑
궁금하신점은 댓글 남겨주세요~!